
HTML/CSS 태그들은 각자의 영역을 가지게 되고 각자의 영역들이 박스(공간)을 가지게 된다.
박스는 항상 직사각형이고, 너비와 높이를 가지게 되는데 CSS를 통해 그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그중 필수적으로 이해해야할 개념이 하나 있는데, 바로 block / inline / inline-block 개념이다.
줄바꿈이 되는 박스 : block
대표적 태그: <h1> <p>
줄바꿈이 되는 박스란 태그를 사용했을 때 다음 태그가 저절로 줄바꿈이 되는 태그를 뜻한다. 즉 <h1>태그를 사용하면 줄 전체 공간을 차지하며 이외의 태그가 배치되지 못한다.
옆으로 붙는 박스 : inline
대표적 태그: <span>
옆으로 붙는 박스란 콘텐츠의 내용만큼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줄 전체 공간을 차지 하지 않는다. 남는 공간에는 다른 태그들이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inline 박스의 경우 width, height 속성이 적용되지 않으니 주의하자.
block과 inline의 중간성격 박스 : inline-block
inline-block 박스는 옆으로 붙는 박스이지만 공간의 크기를 따로 설정할 수 있다.
예시)
span { background: yellow; display: inline-block; width: 100px; height: 100px; }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
block | inline-block | inline | |
줄바꿈 여부 | 줄바꿈이 일어남 | 줄바꿈이 일어나지 않음 | 줄바꿈이 일어나지 않음 |
기본적으로 갖는 너비(width) | 100% | 글자가 차지하는 만큼 | 글자가 차지하는 만큼 |
width, height 사용 가능여부 | 가능 | 가능 | 불가능 |
'Front-End > HTML_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Position absolute 정리 (0) | 2022.01.07 |
---|---|
CSS Flexbox (0) | 2021.10.19 |
CSS 셀렉터 오답노트 (0) | 2021.10.19 |
HTML 태그 (0) | 2021.10.09 |
HTML 기본구조 (0) | 2021.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