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t6

[git] 프로젝트 파일명 변경 후 cicd에 실패한다면 안녕하세요 :) 오늘 리펙토링을 진행하면서 파일과 폴더명을 변경했는데요, 분명 로컬에서는 실행에 문제가 없었는데 푸시를 하려고 하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반복해서 발생했습니다. 한참을 삽질하던 중에 git에서는 파일 및 폴더명의 대소문자 구별을 하지 않는다는 글을 읽게 되었습니다. 로컬에서 "Column" 파일을 "column"으로 바꾸고 해당 모듈을 임포트 하는 코드를 수정했어도, git에서 관리되는 코드에서는 파일명은 그대로 유지되고 임포트 하는 코드만 수정이 된 것이죠. 그 결과 cicd 환경에서는 임포트에 실패하며 에러가 발생한 것이었습니다. 해결방법은 간단했습니다. 아래의 명령문으로 git한테 대소문자 구별을 하라고 설정을 바꿔주면 됩니다. git config core.ignorecase false 2023. 12. 19.
[Git] Git remote repository 커밋 되돌리기 어제 토이 프로젝트를 깔끔하게 커밋하고 잠에 드려는 순간... 민감한 정보가 코드안에 들어가 커밋이 되어버렸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이번 토이 프로젝트를 같이 진행하게 된 개발자는 이전 회사 CTO인데, 코딩 스타일이 병적으로 보안에 집착하는 스타일이다. 만약 해당 커밋을 보게 된다면 고개를 절레절레 저을 것이다.. 사실 표현을 병적이라고 했지만 조금이라도 그분이랑 이야기를 나누어 본다면 집착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것에 누구나 고개를 끄덕이게 될 것이다. 많은 초보 개발자들이 보안에 그렇게 신경을 안 쓰는 경향이 있는데, 인터넷 세상은 정말 위험하다. 지금도 깃헙에는 중요한 정보를 빼내서 자신의 이득을 위해 사용하려는 크롤링 프로그램들이 좀비처럼 떠다니고 있다. 그래서 오늘은 이 위험천만한 기.. 2022. 4. 5.
[Git] 리파지토리에 파일을 클릭할 수 없을때?! 오늘 야심 차게 미뤄뒀던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Git에 local repository를 remote repository로 push 했다. 근데 뭔가가 이상한 느낌?! 파일에 커서표시만 뜰뿐 파일 안의 폴더를 Github을 통해 확인을 할 수 없는 것이었다. 뭐지? 이미지를 남겨놓진 않았지만 대략 아래와 같은 상황이었다. 원인은 .git 폴더가 root 폴더 아래 다른 폴더에도 있기 때문이었다. 아마 git init을 남발하면서 여러 폴더에 .git 폴더가 생성이 된 모양이었다. 이럴 경우 root의 .git폴더를 제외하고 나머지 폴더를 삭제하고 다시 push 하면 간단히 해결된다. 2021. 12. 25.
[Git] .env 파일을 gitignore 해야하는 이유! Linux 환경변수에 대해 학습을 하다, .env 파일은 절대 git push 하시면 안 돼요!라는 설명을 들었다. 왜 그럴까? 아, 여기서 .env 파일이란 환경변수들이 저장된 파일을 뜻한다.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stackOverflow의 형님들께서 친절하게 답변을 해 놓으셨다. 출처: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3664565/why-do-people-put-the-env-into-gitignore/43664611 Why do people put the .env into gitignore? Laravel's official site recommends that we put the .env into gitignore and so to others. Why? I .. 2021. 12. 13.
Git 워크플로우-Advanced Basic에서는 포크를 통해 파일을 내 워크스페이스로 옮겨와서 작업을 하고 Pull Request를 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다른 사람들과 협을 할 때의 워크플로우를 알아보자 1. Init 명령어 git init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내 컴퓨터에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었다면 이 디렉토리는 내 컴퓨터에만 존재하는 상태다. init을 이용하면 새로만든 디렉토리를 Git의 관리하에 있는 Git Repository(Local Repository)로 변환이 가능하다. 새로운 Repository를 초기화하는 데에도 사용한다. 2. Remote add origin 명령어 git remote add origin init을 통해 Local Repository를 생성했다면 이제는 Local을 Remote에 연결해.. 2021. 10. 15.
Git 워크플로우-Basic 개발자들의 버전관리를 위해 이용하는 Git 오늘은 Git에 대해 알아보자. Git 개념도 1. Fork 위의 개념도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우선 제일 먼저 Fork를 진행해야한다. Fork란 마치 나무에서 잔가지가 뻗어나가듯이 다른 버전으로 나의 Remote Repository에 다른사람의 Remote Repository를 옮기는 작업을 뜻한다. 2. Clone 명령어 git clone 'repository 주소' Clone은 나의 Remote Repository에 있는 파일과 폴더들을 로컬 저장소(컴퓨터)에 옮기는 작업을 뜻한다. 그리고 작업 시작! 작업이 끝났다면 아래 과정을 거치게 된다. 3. Status 명령어 git status 변경된 파일을 Rocal Repository에 저장하기 이전에 변경.. 2021. 10.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