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okie3

[Cookie] 브라우저가 쿠키 저장에 실패한다면 안녕하세요 :) 하루종일 쿠키문제로 시달리다가 겨우겨우 문제를 해결했네요 ㅠㅠ 혹시나 관련해서 문제를 겪고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포스팅을 올립니다. 분명 서버로부터 Set-Cookie에 쿠키가 담겨 응답이 왔는데 브라우저 개발자 도구에서 쿠키가 보이지 않는다면, 아래처럼 오른쪽에(크롬기준) 경고 표시가 없는지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경고 표시 위에 커서를 올리면 자세한 설명이 나오는데요, 저의 경우 아래와 같은 경고문이 나왔습니다. This Set-Cookie header didn't specify a "SameSite" attribute and was blocked because it conform a cross-site repsonse which was not the response to .. 2023. 12. 13.
Local storage vs Cookie 브라우저 환경에서 데이터를 저장해 사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Local storage와 Cookie가 있습니다. 프론트엔드 작업을 하다보면 흔히 Local storage를 이용하는데, 그렇다면 localStorage가 cookie보다 항상 좋은 것일까요? 웹앱이 JWT를 사용하는 경우 토큰을 어디에다 저장해야 하는 걸까요? Local Storage localStorage는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 데이터를 읽고 저장할 수 있습니다. localStorage.setItem("data", data) localStorage.getItem("data", data) localStorage는 매우 편리하고 순수 자바크스립트만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그리고 저장용량이 약 5메가 바이트로 쿠키에 비해 널널한 .. 2023. 11. 15.
Cookie와 그 특성들 오늘의 포스팅은 Stateless 한 HTTP(S) 통신을 STATE 하게 만들어주는 '쿠키'와 그 특성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우선 쿠키란 인증과 관련되어 광범위하게 쓰이기 때문에 front-end나 back-end 두 곳 모두 그 개념에 대해 자세히 알 고 있어야 한다. 쿠키는 마치 로컬 저장소와 같이 작은 단위의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뜻하는데, 이곳에 세션 혹은 토큰과 같이 "나는 여기에 로그인한 상태에요"라는 데이터를 남김으로써 서버가 안심하고 개인적인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하지만 쿠키는 클라이언트 상에 저장되는 것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탈취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여러 가지 특성들로 쿠키가 악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아래 블로그에 관련되어 잘 .. 2021. 1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