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작업할 때는 보통 Window 운영체제를 사용한다. (카카오톡 때문에...)
하지만 노트북의 경우 Linux 운영체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오늘 사람 구경도 좀 할 겸 카페에 나가서 노트북으로
git clone을 해서 react 프로젝트 리파지토리를 복사를 했다.
그리고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npm run start를 누르는 순간 에러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정확한 에러 코드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대충
chlid-compiler is not a function
위와 같은 에러코드 였던 것 같다.
아무리 생각해도 운영체제와 관련된 문제인 듯하여 구글링을 해보니 아니나 다를까
운영체제가 다름으로서 나타나는 문제였다.
필자는 이 현상을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해결했다.
- node_modules를 삭제한다.
- npm install을 통해 node_modules를 다시 다운로드한다.
- node.js 버전을 업데이트한다.
node_modules 삭제
node_modlues를 삭제해야 하는 이유는 react 앱을 만들 때 운영체제에 맞는 module들이 다운로드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영체제가 변경 될 때에는 해당 모듈을 다운로드하여야 하기 때문에 모듈들을 삭제해야 한다.
npm install
npm install을 하면 json파일에 필요한 모듈을 다시 다운로드 받게 된다. 이때 이전과는 다르게 현 운영체제에 맞는 모듈이 다운로드되기 때문에 운영체제로 인한 문제가 해결된다.
node.js 버전 업데이트
아마 대부분의 유저의 경우 위 두 단계를 통해 문제가 해결 될 것이다. 하지만 필자의 경우 node.js 버전이 react에 필요한 14 버전 이전의 버전이었기에 오류가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따라서 아래의 코드로 버전을 업그레이드시켰다.
nvm install <version - number>
nvm use <version - number>
이로서 하루를 몽땅 버려버렸다.. 허엉...ㅠㅠ
'Front-End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데이터 로딩과 렌더링 작업속도차이 문제 (0) | 2022.01.23 |
---|---|
[React] https 통신문제 (0) | 2022.01.23 |
[React] Presentational vs Container Component (0) | 2021.12.10 |
[React] State값을 직접변경하면 안되는 이유 (0) | 2021.12.10 |
[React] React에서 this는 무엇인가? (0) | 2021.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