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HTTP 상태 코드를 정리해보려 한다.
이전 직장에 있을 때 오류가 나기만 하면 개발분이
"What is the error code?"라고 물어보던 것이 생각난다.
에러코드는 오류가 났을 때 맨 처음 확인해야 하는 주석과도 같은 느낌이었다.
다만 에러코드의 종류는 너~~~무 많다.
MDN 문서만 보더라도 내용이 너무 많으니, 그때그때 에러코드가 발생하면 검색해서 찾아보는 방법을 선택해야 겠다.
에러코드: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Status
HTTP 상태 코드 - HTTP | MDN
HTTP 응답 상태 코드는 특정 HTTP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알려줍니다. 응답은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집니다: 정보를 제공하는 응답, 성공적인 응답, 리다이렉트, 클라이언트 에러, 그리고
developer.mozilla.org
그나마 다행인 점은 맨앞의 숫자별로 어떤 원인이 문제를 일으켰는지 짐작을 할 수 있도록
설계를 해 놓았다.
아래에 재미있게 정리를 한 내용이 있어 포스팅 한다.
1xx: hold on (대기 혹은 아직 응답은 불가)
2xx: here you go (성공)
3xx: go away (리소스의 URI변경 등)
4xx: you screwed up (클라이언트 잘못)
5xx: I screwed up (서버 잘못)
한눈에 알아보기 쉽지 않나요?
'HT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cket.io] Socket.io란 무엇인가? (0) | 2022.03.05 |
---|---|
HTTP MIME (0) | 2021.11.18 |
HTTP PUT과 PATCH 메소드의 차이 (0) | 2021.11.18 |
HTTP 메소드의 멱등성 (0) | 2021.11.18 |
HTTP 요청 메서드 (0) | 2021.11.18 |